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 용어] ROI? 투자수익률? 투자자본수익률?

by 김다배 2024. 6. 8.

 

오늘은 ROI에 대해서 알아봤다.

 

ROI?

ROI는 Return on Investment의 약자로, 투자 수익률 또는 투자자본수익률이라고 부르는데,

투자에 대해 얻은 수익을 측정하고 이를 투자 비용과 비교함으로써, 투자가 얼마나 효율적이고 수익성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였다.

ROI 계산 방법

ROI는 일반적으로 총 투자금액 대비 순이익의 백분율로 계산한다.

ROI = 순수익 / 투자비용 * 100
  • 순이익 (Net Profit): 투자로부터 얻은 총수익에서 투자 비용을 뺀 값.
  • 투자 비용 (Investment Cost): 투자를 위해 지출된 총 비용.

예시

만약 어떤 사업에 1,000만원를 투자하여 1,500만원의 수익을 얻었다면, RO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 순이익 = 1,500만원 - 1,000만원 = 500만원
  2. 투자 비용 = 1,000만원
  3. ROI = 500만원 / 1,000만원 * 100 = 50%

이 경우, ROI는 50%가 되고, 값 그대로 투자한 금액의 50% 만큼의 수익을 얻었다는 의미가 된다.

ROI의 활용

  1. 의사 결정 지원: ROI는 투자 대안 간의 비교를 통해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활용할 수 있다.
  2. 성과 평가: 기존 투자 성과를 평가하여, 지속 여부나 추가 투자 결정을 내리는데 활용할 수 있다.
  3. 자원 배분: 자원을 어디에 배분해야 최대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 판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ROI의 한계

ROI 자체에 몇 가지 한계도 존재한다.

  1. 시간 요소 무시: ROI는 시간 요소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 대상끼리 투자 기간이 다를 경우 단순 비교가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IRR(내부 수익률)이나 NPV(순현재가치)와 같은 지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는데, 다음에 IRR과 NPV에 대해서도 조금 더 알아봐야겠다.
  2. 비재무적 이익 무시: ROI는 금전적인 수익만을 고려하므로, 브랜드 가치 상승, 고객 만족도 향상 등의 비재무적 이익이 반영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고 한다.
  3. 위험 요소 무시: ROI는 투자 위험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한다. 말 그대로 수익률에 대한 지표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 어떤 리스크가 있었는지 혹은 미래야 어떤 리스크를 동반할지를 평가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마무리

ROI는 투자 효율성을 평가하는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지표로, 다양한 비즈니스 및 재무 결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였다.

간간히 "가성비"와 같은 뉘앙스로 스타트업 사투리? 판교 사투리?처럼 쓰이기도 하는 걸 본 것 같은데, Return on Investment. 잘 기억하고 있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