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10

[경제 용어] ROI? 투자수익률? 투자자본수익률? 오늘은 ROI에 대해서 알아봤다. ROI?ROI는 Return on Investment의 약자로, 투자 수익률 또는 투자자본수익률이라고 부르는데,투자에 대해 얻은 수익을 측정하고 이를 투자 비용과 비교함으로써, 투자가 얼마나 효율적이고 수익성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였다.ROI 계산 방법ROI는 일반적으로 총 투자금액 대비 순이익의 백분율로 계산한다.ROI = 순수익 / 투자비용 * 100순이익 (Net Profit): 투자로부터 얻은 총수익에서 투자 비용을 뺀 값.투자 비용 (Investment Cost): 투자를 위해 지출된 총 비용.예시만약 어떤 사업에 1,000만원를 투자하여 1,500만원의 수익을 얻었다면, RO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순이익 = 1,500만원 - 1,000만원 = 500만원투.. 2024. 6. 8.
[경제 용어] 총자산? 순자산? 자본? 자산? 부채? 오늘은 간단하게 자산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해 봤다. 바로 총자산과 순자산, 그리고 부채에 관한 이야기다. 총자산이란? 먼저 총자산이다. 자산은 주로 현금, 재고, 부동산, 투자 등의 다양한 형태를 띠는데, 총자산은 말 그대로 기업이나 개인이 보유한 다양한 자산의 총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그냥 '자산', 혹은 '재산'이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내 회사가 현금 1억, 재고 2억, 부동산 5억, 투자 3억을 보유하고 있다면 회사의 총자산은 11억이 되는 것이다. 순자산이란? 한편, 순자산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으로, 자본의 순 가치를 나타낸 것이다. 다르게는 '자본'이라고 표현된다. 예를 들어, 내 회사의 총자산이 11억인데 부채가 3억이라면 순자산은 8억 인 것이다. 근데 여기서 개인적으로 .. 2024. 3. 18.
[경제 용어] 경기민감주? 경기방어주? 요즘 주식 공부를 하다보니 새로운 용어들을 자주 발견하게 되는데, 오늘은 경기민감주와 경기방어주라는 것에 대해서 정리해봤다. 주식에 대해서 조금만 관심을 가져보면 굉장히 자주 마주하게 되는 단어가 있는데 그게 바로 '변동성'이다. 당연히 주식 시장에는 항상 변동이 있기 때문인데, 그 변동성에 대비해서 투자 종목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할 다양한 요소들 중에 경기민감주와 경기방어주가 포함된다. 사실 용어자체가 직관적이라 어려운 설명이 필요하진 않지만 그래도 기록해두고 싶어 이번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경기민감주란? 경기민감주는 경기의 상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으로, 경기 호황 시에는 성장을 보이고 경기 침체 시에는 타격을 받는 경향이 있는 주식을 가리킨다. 자동차 업체나 건설업체와 같은 산업이 이에 .. 2024. 3. 10.
[경제 용어] 기축통화? 요즘 금리도 경제뉴스를 보다 보면, 금리가 높다는 얘기뿐만 아니라 기름값도 높고 환율도 높다는 말들이 꽤 자주 등장한다. 그러면서 당연히 달러 얘기가 빠지지 않는데, 그 틈을타 달러와 관련해서 기축통화 이야기가 간간이 들려 오늘은 기축통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기축통화란? 기축통화는 영어로 Reserve Currency라고 하며 한자로는 基軸通貨(터 기, 굴대 축, 퉁할 통, 재물 화)로 표현된다. 기축통화는 전 세계에서 국제 거래 및 금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안정적이고 신뢰할 만한 통화를 가리키는데 가장 유명한 기축통화는 바로 미국의 달러(USD)인 것이다. 기축통화의 역할? 기축통화는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데, 기축통화는 당연히 국제 무역 및 금융 거래에 주로 사용된다. 다른 나라와의 무역 거래나.. 2023.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