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10 [경제 용어] 보합? 혼조? 유럽증시, 엇갈린 재료에 혼조세 출발, 주택매매 소비심리 넉 달째 상승, 보합국면 유지 주식에 관심을 가지고 뉴스들을 보면 혼조세를 보인다. 보합 마감했다. 보합국면 유지같은 말들을 종종 보게된다. 여기서 보합과 혼조는 뭘까? 알아보니 주식용어는 참 한자어들이 많은 것 같다. 먼저 보합은 지킬 보(保)에 합할 합(合)이라는 한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로 한자 사전에는 1. 만족하여 화합함. 2. 시세가 별로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고 있음. 이라는 뜻으로 알려주는데 아무래도 주식 시장에서 사용하는 보합의 의미는 2번인 것 같다. 지키고 합한다.. 잘 와닿진 않지만 아무튼 시세가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는 상태를 보합이라고 이해했다. 참고로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았지만 그래도 소폭 상승일 때는 강보합, 소폭 하락일.. 2023. 5. 16. [경제 용어] 매파적 발언? 매파? 파월 매파적 발언에 '휘청'…나스닥 3.94%↓[뉴욕증시 브리핑] 최근 경제 유튜버나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누가 누가 매파적 발언을 했다. 매파적 사람이다. 매파적인 관점을 가져야 된다. 하는 이야기를 종종 듣게 되는데 들을 때의 어감으로 봐서 그냥 좀 공격적인 표현이겠거니 하고 스쳐 지나가려다 한 번 찾아보게 되었다. 조금 부끄럽지만 일단 '메파, 매파'에 대한 개념도 없었고, '매파적'이라는 단어가 그 자체로 있는 줄 알았는데, 찾아보니 조류 '매'와 한자 갈래 '파'(派)의 합성어였다. 위키피디아에는 다음과 같이 작성되어 있다. 매파( -派, 영어: war hawk, hawk)는 전쟁에 관한 논의에서 전쟁에 대한 지속이나 확대를 선호하는 정치 파벌을 의미한다. 특히 미국에서 주로 외교정책에 있어서.. 2022. 10. 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