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 용어]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관련 FUD 뉴스? 뻐드 뉴스? 퍼드 뉴스?

by 김다배 2024. 1. 5.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이 암호화폐 시장에 막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요 며칠 ETF 승인을 둘러싸고 상반된 뉴스들이 우후죽순 쏟아지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퍼드 뉴스라는 용어가 눈에 들어왔다.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이 1월중에 난다는 소식은 퍼드 뉴스다.

1월 중에 비트코인 ETF 승인이 모두 거절될 것이라는 말들은 모두 퍼드 뉴스다.

승인이 나긴 나는데, 일부만 승인 나는 것이 FUD News다.

 

도대체 FUD뉴스가 뭘까?

 

FUD 뉴스란?

퍼드 뉴스(FUD News)란 불안과 두려움을 조성하는 의도로 전달되는 뉴스를 가리켜 퍼드 뉴스라고 하는데, FUD는 'Fear, Uncertainty, Doubt'의 약자로, 이는 불확실성, 두려움, 의혹을 부추기는 정보를 의미했다. 이 용어는 특히 미디어와 정보 전달매체에서 사용되며, 정보를 과장하거나 왜곡하여 대상에게 불안감을 불러일으키는 전략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고 한다.

 

FUD의 각 구성 요소 파악하기

   - Fear (두려움): 정보를 통해 사람들에게 두려움을 심어주는 것. 예를 들어, 보안에 취약한 상황을 과장하거나 잠재적인 위험을 부각하는 방법이 있다.
   - Uncertainty (불확실성): 불분명한 정보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조장하여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 금융 분야에서는 시장의 불안정성에 대한 얘기 등이 해당된다.
   - Doubt (의심): 대상에 대한 의심을 심어주는 것. 제품, 서비스, 정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의심을 유발하는 정보들이 FUD 전략의 일환으로 사용될 수 있다.

 

FUD 뉴스의 목적

   - FUD 뉴스는 주로 비즈니스에서 경쟁자를 압박하거나 투자자들을 조작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IT 기업 사이에서 경쟁이 치열할 때, 서로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FUD를 퍼뜨려 상대방을 약화시키는 전략이 흔하게 사용되는 패턴이다.
   - ex.1) 보안 위협 과장: 보안 기업들은 자사의 제품을 강조하기 위해 종종 현존하는 위협을 과장하여 사용자들에게 불안을 조성한다. "이 보안 위협에서 당신을 지켜드리는 최고의 솔루션!"과 같은 광고는 FUD 전략의 하나의 예시라 볼 수 있다.
   - ex.2) 기술 비교에서의 왜곡: 경쟁사의 제품을 흑색 PR으로 고의적으로 왜곡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혼란스러워지고, 제품 선택에 어려움을 겪게하는 것이다.

 

비트코인 현물 ETF FUD 뉴스는?

최근 비트코인 ETF에 대한 승인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을 이용한 FUD 뉴스의 등장 역시 이와 목적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해석 할 수 있었다. 시장의 불안을 조성하고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어 더 많은 코인 거래, 더 많은 주식 거래, 더 많은 ETF 거래를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 아닐까? 

엄청난 거래량 속에서 요동치는 가격을 통해 누군가는 엄청난 폭리를 취할 것이고, 누군가는 엄청난 손해를 떠안게 되기도 할 것이며 누군가는 그저 관망하며 즐기고 있을지도...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 

   - 비판적 사고: 뉴스를 접할 때 항상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한 제목이나 강조된 표현에 혹해서는 안 되며, 실제로 뉴스 기사 내용을 확인해보아야 한다.
   - 다양한 소스 참고: 하나의 소스만을 신뢰하기보다는 다양한 출처를 참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시각에서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판단을 할 수 있어야겠다.
   - 사실 확인: 미디어가 전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실 확인을 통한 믿을만한 정보를 찾아보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마무리 

알고보니 딱히 경제 용어는 아니었지만... 아무튼 FUD 뉴스는 우리의 판단을 흔들어 놓고 혼란을 일으키는 전략이었다. 우리 일상생활에서 FUD에 현혹되지 않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와 다양한 정보에 노출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며, 우리가 뉴스를 소비할 때 좀 더 신중하고 주의 깊게 검토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나아가 정보에 접근할 때는 항상 두려움, 불확실성, 의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