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 용어] X홀딩스, X지주, 지주회사가 뭘까?

by 김다배 2023. 9. 11.

 

현대백화점그룹, 단일 지주회사 체제 전환 완료
포스코 홀딩스 3분기 영업이익 31% 급증, 철강 외 부문 성장
롯데지주, 현금흐름 개선되고 있다...투자의견 '보유'
 
 

오늘은 지주회사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봤다.

가끔 이런저런 주식들을 보다보면 무슨무슨홀딩스 같은 이름들이 꽤나 자주 보이길래 홀딩스가 뭐지? 하고 찾아봤더니 지주회사라고 한다.
 
그러고 나서 보니 무슨무슨지주라는 주식도 종종 보이고 꼭 이름에 지주나 홀딩스가 붙지 않더라도 종목분석에서 주요사업이 지주회사, 지주사 라고 되어있는 종목들도 종종 찾아볼 수 있었다.
 

갑자기 기억을 더듬어보니.. 예전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에서도 얼핏 지주회사 얘기가 나왔던 것 같기도 하고..

 

지주회사?

지주회사는 영어로 Holding Company라고하며 여러 다른 회사나 자산을 소유하고 관리하는 회사를 의미한다.

영어사전에서 Holding를 찾아봤을 때에도 가장 먼저 등장한 뜻이 보유 주식 수 였고,

지주회사라는 한자어를 풀었을 때도 持: 가질 지 株: 그루 주라는 한자를 사용하는데 이때 그루 주라는 한자에는 주식이라는 뜻도 있어 결국 주식을 가진 이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었다.

 

역할? 

지주회사의 존재 이유는 지주회사가 하는 역할에 대해 찾아보니 좀 더 이해가 쉬웠다.
크게 아래 네 가지 정도의 역할을 하는데, 


자회사 관리: 가장 떠오르기 쉬운 역할이었다. 다른 회사들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기에 각 회사들의 경영이나 전략을 감독하거나 혹은 직접 운영까지도 하는 경우도 있는 듯하다.


리스크 분산: 블로그도 전략적으로 한 사람이 여러 색깔의 여러 블로그를 운영하듯 회사에서도 하나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업을 운영할 때 전략적으로 지주회사를 활용하는 것 같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 산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리스크를 분산하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자금 조달: 그렇게 분산된 회사들이 지주회사와 자회사의 관계로 엮여 있으면 자회사에게 자금을 제공하거나 각 자회사들끼리 자금을 조달할 때 중개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전략적 조정: 지주회사는 여러 자회사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그룹 전체의 전략을 수립하고 운영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과정에서 자회사들 간의 협력을 조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고 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기축통화?  (0) 2023.10.03
[경제 용어] 권리락?  (0) 2023.09.30
[경제 용어] 컨센서스란?  (0) 2023.09.03
[경제 용어] 어닝서프라이즈? 어닝쇼크?  (0) 2023.05.29
[경제 용어] 연착륙? 경착륙?  (1) 2023.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