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용어] POC? PoC? Proof of Concept? PoC 하는 조건으로..., PoC 해보면서..., PoC 진행 내용. 자체 POC, POC 마무리, Poc 부탁드릴게요 PoC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일단은 PoC 먼저 진행해 보고 결정하시죠. 최근에 PoC라는 말을 너무 자주 접하게 되면서, 문맥에 맞는 느낌적인 느낌으로 이해는 했는데 도대체 무슨 말인가 해서 오늘은 PoC에 대해 알아봤다. POC? PoC? Proof of Concept의 약어로 POC 혹은 PoC로도 쓴다. 아무튼 이 POC는,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의 실행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한 개념이라고 한다. 이는 글자 그대로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가 실제로 동작하고 유용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목적인 일종의 실험 또는 시범 프로젝트인 것이다. 비용을 절감하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2024. 4. 21.
[용어] 내러티브? 네러티브? Narrative? 서사? '내러티브가 중요해' '내러티브가 있어야지' 영화나 문학에서 종종 들리던 내러티브가 이제는 스타트업의 성장 과정에도 녹아든 모습이 심심찮게 보이는 것 같다. 예전엔 관심이 없었는데 뭔가 괜히 자주 들려오니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어졌다. Narrative? 그냥 검색창에 내러티브를 검색하니 뭔가 굉장히 예술적인 아우라를 풍기면서 조금은 친근하지 않은 멋진 설명들이 나를 맞이했다. 그래서 일단, 사전의 힘을 빌려보기로 했다. 영한사전에 narrative를 검색하면 묘사, 서술이라는 뜻이 나온다. 근데 좀 더 찾아보니 Narrative는 서사였다. 서사를 한영사전에 검색하니 Narrative 가 바로 등장하진 않아서 조금 아쉽긴 했지만 연관검색어로는 충분히 등장했고, 지식백과에 서사를 검색하면 Narrativ.. 2024. 4. 14.
[경제 용어] 총자산? 순자산? 자본? 자산? 부채? 오늘은 간단하게 자산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해 봤다. 바로 총자산과 순자산, 그리고 부채에 관한 이야기다. 총자산이란? 먼저 총자산이다. 자산은 주로 현금, 재고, 부동산, 투자 등의 다양한 형태를 띠는데, 총자산은 말 그대로 기업이나 개인이 보유한 다양한 자산의 총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그냥 '자산', 혹은 '재산'이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내 회사가 현금 1억, 재고 2억, 부동산 5억, 투자 3억을 보유하고 있다면 회사의 총자산은 11억이 되는 것이다. 순자산이란? 한편, 순자산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으로, 자본의 순 가치를 나타낸 것이다. 다르게는 '자본'이라고 표현된다. 예를 들어, 내 회사의 총자산이 11억인데 부채가 3억이라면 순자산은 8억 인 것이다. 근데 여기서 개인적으로 .. 2024. 3. 18.
[경제 용어] 경기민감주? 경기방어주? 요즘 주식 공부를 하다보니 새로운 용어들을 자주 발견하게 되는데, 오늘은 경기민감주와 경기방어주라는 것에 대해서 정리해봤다. 주식에 대해서 조금만 관심을 가져보면 굉장히 자주 마주하게 되는 단어가 있는데 그게 바로 '변동성'이다. 당연히 주식 시장에는 항상 변동이 있기 때문인데, 그 변동성에 대비해서 투자 종목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할 다양한 요소들 중에 경기민감주와 경기방어주가 포함된다. 사실 용어자체가 직관적이라 어려운 설명이 필요하진 않지만 그래도 기록해두고 싶어 이번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경기민감주란? 경기민감주는 경기의 상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으로, 경기 호황 시에는 성장을 보이고 경기 침체 시에는 타격을 받는 경향이 있는 주식을 가리킨다. 자동차 업체나 건설업체와 같은 산업이 이에 .. 2024.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