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증시, 엇갈린 재료에 혼조세 출발,
주택매매 소비심리 넉 달째 상승, 보합국면 유지
주식에 관심을 가지고 뉴스들을 보면 혼조세를 보인다. 보합 마감했다. 보합국면 유지같은 말들을 종종 보게된다.
여기서 보합과 혼조는 뭘까?
알아보니 주식용어는 참 한자어들이 많은 것 같다.
먼저 보합은 지킬 보(保)에 합할 합(合)이라는 한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로
한자 사전에는
1. 만족하여 화합함.
2. 시세가 별로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고 있음.
이라는 뜻으로 알려주는데 아무래도 주식 시장에서 사용하는 보합의 의미는 2번인 것 같다.
지키고 합한다.. 잘 와닿진 않지만 아무튼 시세가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는 상태를 보합이라고 이해했다.
참고로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았지만 그래도 소폭 상승일 때는 강보합, 소폭 하락일 때는 약보합이라는 표현이 있다고 한다.
다음 혼조는 특이하게도 한자사전에는 나오지 않지만 국어사전에 한자의 조합으로, 섞을 혼(混)에 밀물 조(潮)라는 한자가 합쳐져서
일정한 흐름을 예측할 수 없이 혼란스러운 상태
라는 뜻으로 알려준다. 조금 더 찾아보니 상승과 하락이 혼합된 상태를 나타낸다고 한다.
국어사전에서 이해한 바로는 '혼란'이라는 단어 때문에 상승과 하락이 엄청나게 요동치는 그림을 상상했었는데, 그런것은 아니고 오르고 내림이 혼재해서 불안정한 상태라고 이해할 수 있었다.
뭔가 보합과 혼조가 상반된 뜻일 줄 알았는데 딱히, 그런건 아니였다.
두 용어 모두 상승도 하락도 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긴 하지만, 조금더 불안한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단어가 혼조인 듯 하다.
좀 더 찾아보니
美 국채금리, 亞 시장서 보합권 혼조
국내증시, 혼조세..코스피 강보합 마감
처럼 보합과 혼조가 함께 쓰이는 경우도 더러있었다.
보합권 혼조는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는 추세에 시장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라는 의미이고,
혼조세 강보합마감은 혼란스러운 시장추세에서 오르지도 내리락 하긴 했지만 그래도 소폭 상승으로 마감한 상태를 말하는 것 이려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X홀딩스, X지주, 지주회사가 뭘까? (0) | 2023.09.11 |
---|---|
[경제 용어] 컨센서스란? (0) | 2023.09.03 |
[경제 용어] 어닝서프라이즈? 어닝쇼크? (0) | 2023.05.29 |
[경제 용어] 연착륙? 경착륙? (1) | 2023.05.22 |
[경제 용어] 매파적 발언? 매파? (0) | 2022.10.02 |